맨위로가기

Please Please Me (노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가 작곡하고 녹음한 노래로, 존 레논이 로이 오비슨의 영향을 받아 작곡했다. 조지 마틴의 제안으로 템포를 빠르게 하여 1962년 11월 26일에 녹음되었으며, 존 레논의 하모니카 연주가 특징이다. 1963년 영국에서 발매되어 멜로디 메이커와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 차트 1위를 기록했고, 미국에서는 1964년 빌보드 핫 100에서 3위를 기록했다.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으며,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중 184위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싱글 - I Want to Hold Your Hand
    비틀즈가 1963년 발표한 〈I Want to Hold Your Hand〉는 레논-매카트니 작곡으로 영국과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신호탄이 되었고, 단순하고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긍정적인 가사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았다.
  • 1963년 싱글 - From Me to You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작곡하고 1963년 싱글로 발매되어 비틀즈의 영국 내 첫 1위 곡이 된 "From Me to You"는 델 섀넌이 커버하기도 했으며 헬렌 샤피로 투어 중 영감을 받아 영화 헬프!에 기악 편곡 버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1963년 노래 - I Want to Hold Your Hand
    비틀즈가 1963년 발표한 〈I Want to Hold Your Hand〉는 레논-매카트니 작곡으로 영국과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신호탄이 되었고, 단순하고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긍정적인 가사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았다.
  • 1963년 노래 - From Me to You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작곡하고 1963년 싱글로 발매되어 비틀즈의 영국 내 첫 1위 곡이 된 "From Me to You"는 델 섀넌이 커버하기도 했으며 헬렌 샤피로 투어 중 영감을 받아 영화 헬프!에 기악 편곡 버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레논-매카트니가 작곡한 노래 - I Want to Hold Your Hand
    비틀즈가 1963년 발표한 〈I Want to Hold Your Hand〉는 레논-매카트니 작곡으로 영국과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신호탄이 되었고, 단순하고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긍정적인 가사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았다.
  • 레논-매카트니가 작곡한 노래 - From Me to You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작곡하고 1963년 싱글로 발매되어 비틀즈의 영국 내 첫 1위 곡이 된 "From Me to You"는 델 섀넌이 커버하기도 했으며 헬렌 샤피로 투어 중 영감을 받아 영화 헬프!에 기악 편곡 버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Please Please Me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국 오리지널 사진 슬리브 흑백 사진으로 그룹 이름과 노래 제목이 큰 글자로 표시됨
미국 사진 슬리브 (비제이 1964)
장르머지비트
로큰롤
길이2분 0초
작사가매카트니-레논
프로듀서조지 마틴
발매 정보
영국1963년 1월 11일
미국1963년 2월 25일
미국 (재발매)1964년 1월 3일
일본1964년 2월 10일
녹음 정보
녹음일1962년 11월 26일
녹음 장소EMI, 런던
싱글 정보
A면해당사항 없음
B면"애스크 미 와이" (영국 & 미국 최초 발매)
"프롬 미 투 유" (미국 재발매)
음반Please Please Me
레이블팔로폰 (영국)
비제이 (미국)
오데온 / 도시바 음악 공업 (일본)

2. 작곡

존 레논은 로이 오비슨의 "온리 더 론리"와 빙 크로스비의 노래 가사에 나오는 "Please lend a little ear to my pleas"라는 구절에서 영감을 받아 〈Please Please Me〉를 작곡했다.[28] 처음에는 블루스 풍의 느린 곡이었으나, 프로듀서 조지 마틴은 이 곡이 너무 우울하고 생기가 없다고 판단했다. 비틀즈는 자신들의 창작곡을 녹음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고, 마틴의 제안을 받아들여 템포를 빠르게 하고 하모니를 추가하는 등 대대적인 수정을 거쳤다.

2. 1. 초기 버전

존 레논은 〈Please Please Me〉를 처음에는 블루스조에 느린 템포의 곡으로 구상했다. 레논은 "이 곡을 쓴 날을 기억하는데, 로이 오비슨이 'Only the Lonely'를 부르는 것을 들었다. 그리고 'Please lend a little ear to my pleas'라는 빙 크로스비의 노래 가사에도 항상 매료되었다. 'Please'라는 단어를 두 번 사용하는 것. 그래서 그것은 로이 오비슨과 빙 크로스비의 조합이었다."라고 회고했다.[28] 원래 이 곡은 보컬이 빈약했고, 하모니나 응답도 없었으며, 하모니카 인트로도 없었다. 레논은 훗날 "Please Please Me는 완전히 내 곡이다. 로이 오비슨 노래를 쓰려는 시도였다. 믿기 어렵겠지만 내 집 Menlove Avenue에 있는 침실, 이모네 집에서 썼다."라고 말했다.

2. 2. 조지 마틴의 편곡 제안

조지 마틴비틀즈의 데뷔 싱글 〈Love Me Do〉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리버풀함부르크 외 지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는 비틀즈의 가능성을 보고 두 번째 싱글을 준비하기로 했다.[28]

존 레논은 〈Please Please Me〉를 처음에는 블루스 풍의 느린 곡으로 구상했다. 레논은 로이 오비슨의 〈온리 더 론리〉를 듣고 영감을 받았으며, 빙 크로스비의 노래 가사 중 "Please lend a little ear to my pleas"라는 구절에서 'please'라는 단어가 두 번 사용된 것에 주목했다.

하지만 조지 마틴은 원래 버전이 너무 느리고 지루해서 히트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그는 비틀즈에게 템포를 빠르게 하는 등 큰 변화를 줄 것을 제안했다. 마틴은 심지어 〈How Do You Do It?〉을 대신 발매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지만, 비틀즈는 자신들의 창작곡을 녹음하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결국 마틴은 비틀즈의 의견을 수용하여 〈Please Please Me〉를 새롭게 편곡하기로 했다.

3. 녹음

〈Please Please Me〉는 1962년 11월 26일 런던의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49] 원래 로이 오비슨 풍의 느리고 우울한 노래였으나, 조지 마틴의 제안으로 템포를 빠르게 하는 등 편곡에 큰 변화를 주었다.[49]

폴 매카트니는 조지 마틴이 "템포를 바꿀 수 있을까요?"라고 묻자, "그게 뭔데요?"라고 되물었고, 마틴이 더 빠른 템포를 보여주자 "아, 괜찮네, 네."라고 생각하며, 그가 자신들보다 더 나은 템포를 찾았다는 사실에 약간 당황했다고 회상했다.[49]

존 레논하모니카 연주를 추가했고, 매카트니와 레논은 에벌리 브라더스의 히트곡 "Cathy's Clown"에서 배운, 높은 음을 유지하며 음계를 내려가는 보컬 전략을 사용했다.[49]

18번의 테이크 끝에, 조지 마틴은 이 곡이 비틀즈의 첫 번째 히트곡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49]

3. 1. 세션 참여 인원


3. 2. 1962년 9월 11일 녹음 (앤솔로지 버전)

1995년에 발매된 비틀즈 앤솔로지 1에는 1962년 9월 11일에 녹음된 〈Please Please Me〉의 초기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31] 이 버전은 조지 마틴이 지적한 느린 템포가 아닌, 이미 템포가 빨라진 편곡으로 연주되었다.

이 녹음에 세션 드러머 앤디 화이트가 참여했다는 주장이 있으나,[31] 논란의 여지가 있다. 마크 루이슨은 앤솔로지 노트에서 이 점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의 저서 《The Beatles Recording Sessions》에서는 엔지니어 론 리차드의 말을 인용해 "링고는 그날 저녁 드럼을 전혀 연주하지 않았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제프 에머릭은 앤디 화이트가 떠난 후, 비틀즈의 로드 매니저 말 에반스가 스타의 드럼 키트를 설치하고 그룹이 스타가 드럼을 연주하는 "Please Please Me"를 녹음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기록했다. 앤디 화이트는 2012년 BBC 인터뷰에서 히트 싱글의 드럼 연주는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했다.[4][5]

4. 발매

"Please Please Me"는 1963년 1월 11일 영국에서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B면에는 "Ask Me Why"가 수록되었다.[41] 이 싱글은 멜로디 메이커지와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지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현재의 영국 싱글 차트에 통합될 레코드 리테일러지(후의 뮤직 위크지)에서는 최고 순위 2위에 그쳤다.[41]

처음에 미국에서는 캐피틀 레코드에 발매권이 주어졌지만, 캐피틀 측은 이를 거부했다.[9] 이 때문에 비제이 레코드로 발매권이 넘어가 1963년 2월 25일에 발매되었으나,[10] 판매량은 7,310장으로 저조했다.[13] 그러나 이후 미국에서 비틀즈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한 싱글 『I Want to Hold Your Hand』의 인기에 힘입어, 1964년 1월 3일에 캐피틀에서 제2판 싱글 『Please Please Me』가 발매되었다. 이 싱글은 1964년 3월 14일자 빌보드 핫 100에서 최고 순위 3위를 기록했다.[32]

일본에서는 1964년 2월 10일에 『I Want to Hold Your Hand』에 이은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4월 15일에 발매된 편집반 비틀즈!에 수록되었다.[41] 이 곡은 일본 대중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며, 1964년 당시 일본의 '뮤직 먼슬리 양악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45]

차트 (1964년)최고 순위
일본 (뮤직・먼슬리 양악 차트)[45]1


4. 1. 영국 발매

"Please Please Me"는 1963년 1월 11일, 영국 역사상 최악의 겨울 중 하나에 영국에서 싱글로 발매되었다. B면에는 "Ask Me Why"가 수록되었다.[41] 1963년 1월 19일, 많은 사람들이 자택에서 눈을 맞으며 TV 쇼 ''Thank Your Lucky Stars''에서 비틀즈가 이 노래를 공연하는 것을 시청했다.[6][7] 이 노래의 전국적인 노출과 밴드의 특이한 외모 및 헤어스타일은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비틀즈는 프로모터 아서 하우즈에 의해 일련의 전국 투어에 섭외되었다. 첫 번째 투어는 2월에 헬렌 샤피로, 3월에 토미 로, 크리스 몬테즈, 5월에 로이 오비슨의 서포트 밴드로 참여했다. 투어 일정 중 휴식 시간에 비틀즈는 여러 BBC 전국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 노래를 공연했다. 투어와 TV 출연, 광범위한 언론 보도는 싱글을 대부분의 영국 차트 정상으로 끌어올렸고, 비틀즈는 토미 로와 로이 오비슨 투어에서 헤드라이너로 올라섰다.[8]

"Please Please Me"는 멜로디 메이커지와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지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현재의 영국 싱글 차트에 통합될 레코드 리테일러지(후의 뮤직 위크지)에서는 최고 순위 2위였다.[41]

4. 2. 미국 발매

EMI의 미국 레이블인 캐피톨 레코드는 "Please Please Me"의 미국 발매 권한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9] 대신, EMI 계열사인 Transglobal이 해외 마스터를 미국 음반 레이블에 배치하는 역할을 맡았다.[9] 마틴과 비틀즈의 매니저인 브라이언 엡스타인을 달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음반의 미국 발매처를 찾아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9] "Please Please Me"는 이후 애틀랜틱 레코드에 제안되었지만, 이 또한 거절당했다.[9]

마지막으로, 1962년에 프랭크 이필드의 톱 5 히트곡 "I Remember You"를 발매했던 비제이 레코드가 미국에서 "Please Please Me"를 발매할 권한을 제안받고 이를 수락했다.[9] 미국 발매의 정확한 날짜는 수십 년 동안 알려지지 않았지만, 2004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Please Please Me"/"Ask Me Why" 싱글은 1963년 2월 7일에 비제이에 의해 발매되었다.[10]

딕 비온디는 시카고의 WLS에서 활동하는 디스크 자키이자 비제이 임원 에워트 아브너의 친구였는데, 1963년 2월부터, 아마도 1963년 2월 8일부터 이 노래를 라디오에서 틀면서 미국에서 비틀즈의 음반을 처음으로 방송한 DJ가 되었다.[11] 당시 전설적인 DJ이자 음악 감독이었던 아트 로버츠는 이 음반이 어떻게 방송국에서 처음으로 틀어지게 되었는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WLS에서 "Please Please Me"는 두 번의 에어플레이 주간 외에 "Silver Dollar Survey"에서 두 번째 주간인 3월 15일에 35위로 정점을 찍었다.[11] 그러나 이 곡은 1964년까지 다른 주요 미국 전국 차트에서 순위에 오르지 못했다.

카탈로그 번호 498이 부여된 비제이 싱글의 첫 번째 인쇄본에는 오타가 있었다. 밴드의 이름이 "The Beattles"로 "t"가 두 개로 표기된 것이다.[12][13] WLS는 1963년 실버 달러 설문 조사에서 이 철자를 사용했다. 싱글의 후속 복사본에서는 이 오타가 수정되었다.[14] 그러나 동일한 철자는 1964년 "I Want to Hold Your Hand"의 처음 2주 동안의 실버 달러 설문 조사에도 나타났다.[10][11] 또한, 비제이 에디션의 작곡가들은 양쪽 면에 "J. Lennon-P. McCartney"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영국 파롤폰 에디션(이름이 반대 순서로 나열됨)과 달랐다. 그러나 시카고를 제외하고, 이 음반은 약 7,310장이 팔리면서 실패했다.[13] 오늘날, 레이블에 비틀즈의 철자가 잘못되었든 제대로 되었든, 비제이 498의 복사본은 귀중한 수집품이 되었다.

미국에서 "I Want to Hold Your Hand"가 급하게 발매된 후, Vee-Jay는 1964년 1월 3일경, 비틀스의 영화 촬영 장면이 NBC 텔레비전의 황금 시간대 에피소드인 ''잭 파 프로그램''에 출연한 날, "Please Please Me"를 재발매했다.[15] 안전하게 가기 위해, 이 레이블은 델 섀넌의 버전이 1963년에 작은 히트를 기록했기 때문에 B면에 "From Me to You"를 넣었다. 새로운 싱글은 카탈로그 번호 581로 발매되었다.

이번에 "Please Please Me"는 엄청난 히트를 기록하여, 1964년 3월 14일로 끝나는 주에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3위까지 올랐으며, "I Want to Hold Your Hand"와 "She Loves You"에 뒤쳐졌다.[15] "Please Please Me"는 비틀스가 1위부터 5위까지 모두 차지한 1964년 4월 4일에 핫 100에서 5위를 기록했다.[15]

Vee-Jay는 가능한 한 빨리 많은 수의 음반을 찍어내고 싶었기 때문에, 한 프레스 공장에서 다른 프레스 공장으로의 통일성을 고집하지 않았다.[16] 그 결과, 어지러울 정도로 많은 레이블 변형이 존재한다.[16] 이 중 일부는 곡 제목에 쉼표를 추가하여 "Please, Please Me"로 만들었다.[16] 또한, 음반의 일부 복사본은 사진 슬리브와 함께 발매되었다.[16] 초기 홍보용 복사본에는 "Please Please Me"를 "비틀마니아를 시작한 음반"이라고 선언하는 특별한 슬리브가 있었다. 슬리브의 텍스트는 비틀스가 방금 파 프로그램에 출연했으며 2월에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할 예정이라고 적혀 있었다. 이 슬리브는 매우 희귀한 것으로 간주된다.[17]

재발매된 음반은 최소 11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5] Vee-Jay가 RIAA의 회원사였다면, 이 싱글은 골드 인증을 받았을 것이다.

국가/지역인증판매량/출하량
미국플래티넘1,000,000


4. 3. 한국 발매

Please Please Me영어는 1964년 2월 10일에 일본에서 I Want to Hold Your Hand에 이은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4월 15일에 발매된 편집반 비틀즈!에 수록되었다.[41] 당시 일본에서 비틀즈는 큰 인기를 얻고 있었으며, 이 곡은 일본 대중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1964년 당시 일본의 '뮤직 먼슬리 양악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45]

차트 (1964년)최고 순위
일본 (뮤직・먼슬리 양악 차트)[45]1



또한, 이 곡은 혼다의 경차 "N 시리즈" (N-BOX 시리즈, N-ONE, N-WGN)의 CM에 오리지널 어레인지 버전으로 사용되었다.

5. 차트와 판매량

"Please Please Me"는 1963년 1월 11일에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B면에는 "Ask Me Why"가 수록되었다. 이 싱글은 멜로디 메이커지와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지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현재의 영국 싱글 차트에 통합될 레코드 리테일러지(후의 뮤직 위크지)에서는 최고 순위 2위를 기록했다.[41] 이 때문에 영국이나 미국에서 1위를 차지한 싱글곡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 비틀즈 1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처음에 캐피틀 레코드가 발매권을 거부하여 비제이 레코드를 통해 1963년 2월 25일에 발매되었으나, 판매량은 7,310장으로 저조했다.[41] 이후 비틀즈의 미국 내 인지도가 상승하면서 I Want to Hold Your Hand가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했고, 1964년 1월 3일에 캐피틀에서 재발매된 "Please Please Me"는 1964년 3월 14일자 빌보드 핫 100에서 최고 순위 3위를 기록했다.[32] 1964년 4월 4일자 차트에서는 비틀즈의 곡이 상위 5위를 모두 차지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33]

일본에서는 1964년 2월 10일에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뮤직 먼슬리 양악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45]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는 184위에 올랐다.[34]

5. 1. 주간 차트

차트 (1963년 - 1964년)최고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Kent Music Report)[36]36
캐나다 (CHUM Chart)[37]5
아일랜드 (IRMA)[38]10
뉴질랜드 (Lever)[39]2
스웨덴 (Kvällstoppen Chart)[40]16
영국 Record Mirror Singles Chart1
영국 NME Singles Chart1
영국 Record Retailer Singles Chart[41]2
미국 Billboard Hot 100[32]3
미국 Cash Box Top 100[42]3
서독 (Media Control)[43]20
WLS-AM survey (시카고)[44]2



차트 (1983년)최고 순위
아일랜드 (IRMA)[38]15



차트 (1964년)순위
미국 빌보드 핫 100[46]16
미국 캐시 박스 톱 100[47]37



차트 (1964년)최고 순위
일본 (뮤직・먼슬리 양악 차트)[45]1


5. 2. 연말 차트 (1964년)

차트 (1964년)순위
미국 빌보드 핫 100[55][24]16
미국 캐시박스 톱 100[56][25]37


5. 3. 판매량 인증

Please Please Me영어는 미국에서 100만 장 이상 판매되어 RIAA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24]

지역인증판매량/출하량
미국 (RIAA)플래티넘100만달러


6. 평가

롤링 스톤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목록에서 이 곡을 184위로 선정했으며, 이 목록에서 비틀즈 노래 중 15위에 올랐다.[45] 1963년 1월 19일, 비틀즈는 영국 전국 텔레비전에 처음으로 출연하여 ''Thank Your Lucky Stars''에서 〈Please Please Me〉를 불렀다.

차트 (1964년)최고 순위
일본 (뮤직・먼슬리 양악 차트)[45]1


6. 1. 한국 대중음악에 미친 영향

Please Please Me영어는 한국 대중음악에 팝 음악의 요소를 도입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곡의 성공은 한국에서 비틀즈 열풍을 일으켰고, 이후 한국 대중음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erseybeat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0-02-12
[2] 웹사이트 The Beatles: Please Please Me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0-02-12
[3] 서적 All We Are Saying: The Last Major Interview with John Lennon and Yoko Ono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17-08-27
[4] 웹사이트 Love Me Do: The Beatles '62 http://www.bbc.co.uk[...] BBC Four 2012-10-07
[5] 웹사이트 Love Me Do: The Beatles '62 (excerpt) https://www.youtube.[...] 2012-10-09
[6] 서적 Way Beyond Compare: The Beatles' Recorded Legacy, Volume One, 1957-1965 Crown Archetype 2008
[7] 간행물 The Beatles' 'Please Please Me' 50th Anniversary https://www.rollings[...] 2015-05-08
[8] 서적 John, Paul, George & Ringo: The Definitive Illustrated Chronicle of The Beatles, 1960-1970 Fall River Press 2008
[9] 웹사이트 Silver Dollar Survey http://www.las-solan[...] WLS 2021-01-08
[10] 웹사이트 Silver Dollar Survey http://www.las-solan[...] WLS 2021-01-01
[11] 웹사이트 Silver Dollar Survey http://www.las-solan[...] WLS 2021-01-01
[1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40–1969) Australian Chart Book
[13] 웹사이트 Sisältää hitin: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60: Artistit SAR - SEM http://suomenlistale[...] 2022-03-26
[14] 웹사이트 Classifiche http://www.musicaedi[...] 2022-05-31
[15] 웹사이트 flavour of new zealand - search lever http://www.flavourof[...]
[16] 서적 Eric Hallberg presenterar Kvällstoppen i P 3: Sveriges radios topplista över veckans 20 mest sålda skivor 10. 7. 1962 - 19. 8. 1975 Drift Musik
[17] 서적 Eric Hallberg, Ulf Henningsson presenterar Tio i topp med de utslagna på försök: 1961 - 74 Premium Publishing
[18] 서적 Forty Years of "NME" Boxtree Ltd
[19] 서적 Hits of the 60's:The Million Sellers Batsford
[20] 서적 Hits of the 60's:The Million Sellers Batsford
[21] 서적 The Cash Box Singles Charts, 1950-1981 The Scarecrow Press, Inc
[22] 웹사이트 Offizielle Deutsche 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Charts 2016-05-16
[23] 웹사이트 wls032064 http://www.users.qwe[...] 2016-09-27
[24] 웹사이트 Top 100 Hits of 1964/Top 100 Songs of 1964 http://www.musicoutf[...] 2016-09-27
[25] 웹사이트 Cash Box YE Pop Singles - 1964 http://cashboxmagazi[...] 2017-11-19
[26] AllMusic Merseybeat Music Albums 2020-07-31
[27] AllMusic Please Please Me - The Beatles {{!}} Song Infos 2020-07-31
[28] 웹사이트 Official Singles Chart Top 50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0-07-31
[29] 웹사이트 George Martin: Best Beatles Moments We Owe to Producer https://www.rollings[...] Penske Business Media 2021-09-10
[30] 서적 ビートルズ/レコーディング・セッション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31] 서적 A Beatles Miscellany Fonthill Media
[32] 웹사이트 The Hot 100 Chart https://www.billboar[...] Prometheus Global Media 2020-07-31
[33] 웹사이트 The Hot 100 Chart https://www.billboar[...] Prometheus Global Media 2020-07-31
[34] 웹사이트 The RS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www.rollingst[...] RealNetworks 2020-07-31
[35] 웹사이트 ビートルズ伝説の幕開け、『プリーズ・プリーズ・ミー』完成までの物語 https://rollingstone[...] CCC Music Lab 2020-07-31
[36]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40-1969) Australian Chart Book
[37] 웹사이트 CHART NUMBER 365 – Monday, March 09, 1964 http://www.1050chum.[...] CHUM Chart 2021-11-14
[38] 웹사이트 The Irish Charts - Search Results - Please Please Me http://irishcharts.i[...] Irish Singles Chart 2022-03-27
[39] 간행물 Flavour of New Zealand, 4 April 1963 http://www.flavourof[...]
[40] 웹사이트 Swedish Charts 1962 - March 1966/Kvällstoppen – Listresultaten vecka för vecka > Mars 1963 http://www.hitsaller[...] hitsallertijden.nl 2020-07-31
[41] 웹사이트 Official Chart Top 50 https://www.official[...] UK Singles Chart 2021-12-14
[42] 서적 The Cash Box Singles Charts, 1950-1981 The Scarecrow Press, Inc
[43] 웹사이트 Offizielle Deutsche 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Charts 2020-07-31
[44] 웹사이트 wls032064 http://www.users.qwe[...] 1964-03-20
[45] 서적 日経BPムック 大人のロック!特別編集 ザ・ビートルズ 世界制覇50年 日経BP
[46] 학술지 Top Records of 1964 http://www.americanr[...] 1965-01-02
[47] 웹사이트 Cash Box YE Pop Singles - 1964 http://cashboxmagazi[...] 2020-07-31
[48] AllMusic Please Please Me - The Beatles {{!}} Cover Songs 2021-06-12
[49] 웹인용 Please Please Me http://www.beatlesbi[...] 2016-02-06
[50] 웹인용 Please Please Me History DKR Products 2013-02-16
[51]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40–1969) Australian Chart Book
[52] 서적 The Cash Box Singles Charts, 1950-1981 https://archive.org/[...] The Scarecrow Press, Inc
[53] 웹인용 Offizielle Deutsche 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Charts 2016-05-16
[54] 웹인용 wls032064 http://www.users.qwe[...] 2016-09-27
[55] 웹인용 Top 100 Hits of 1964/Top 100 Songs of 1964 http://www.musicoutf[...] 2016-09-27
[56] 문서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